Reminiscing about Siheung Studio

An artist’s work and its trend are usually influenced by his or her studio’s sur- roundings. I wonder how many artists have their own studios where they stay and work constantly.
I worked at a studio in Siheung for a longer period than other studios. I now reminisce about the studio. After working at studios located in the basement of a speaker-filter factory in Ansan, the basement of an apartment in Gwangmy- eong, in an obscure back alley in Anyang, and on the rooftop of a closed nursery
I worked at the studio in Mokgam-dong, Siheung. The place became a workplace of my own when other friends who had shared the studios above left. It was probably the early 1990s when I first visited. In the area were small apartments clustered near the Mokgam intersection. I could see the two-story building after passing through a meandering back alley. The pastor of a village church lived on the first floor, and put up the second floor for rent. After ascending the steps connected directly to the outside, I found a small yard, a toilet, and a small warehouse. Piled up in the warehouse a sculptor used as a workshop were the materials he left after using. By opening its door, I could see the studio of about 50m2 that was used as a childcare center. The sunlight poured into the room from all directions because it was not underground.
Viewed from the yard of the second floor, a spacious field before the building and small factories were visible here and there. A heap of waste was always at a corner of the field. Smoke rose up from the heap at sunset when someone burned it. By raising my eyes, I could see the sky and clouds closely: a sky ever-changing. The sunset was so beautiful like the sunset the Little Prince saw! When bored I could go to the Mulwang reservoir not far away from the studio. I could drive on the unpaved road by the reservoir, worrying about falling into the reservoir. A few plants were scattered disorderly, but mountains and fields were visible without being hampered. Anyway, I did all I intended to do there, drying my pieces under the sunlight. After staying there for five or six years, the landlord gave me notice to quit. He returned me the security deposit, and I divided this with my friends. Considering the benefits against the cost, I looked for another space in the area located further away from Siheung. I drove to Shincheon-dong from Mokgam- dong. Factories were nestled here and there disorderly on the hillsides or by the roads. Grapevines with imposing grapes were planted by the roads. How pleasur- ably I appreciated a bunch of grapes. Turning left to a dong office near Maehwa- dong, I could see an old village with a dumpling, steamed bread restaurant and a small supermarket brimming with vitality. The place was akin to Mokgam-dong.
I rented a room on the first floor of an old five-story apartment, while my friend nestled into the second floor of a new two-story building an old peasant owned at the opposite side of my apartment. I felt sorry not being able to dry my pieces under the sunlight, but my friend and I fully enjoyed the banks around vast rice fields after passing through an elementary school on the back of the village. The area was semi-urban, semi-rural. There was unexpectedly a jajangmyeon restau- rant at the end of the bank road on which just one car could go by. After eating jajangmyeon there at times, we walked on the road opposite and
reached the Gwangokji pond. We could see lotus flowers blooming splendidly near the pond. We used to walk between deep blue broad lotus leaves as high as us. I gathered duckweeds on the water of a rice field and kept them in a cup at my studio.
I earned rice husks from a rice mill the old peasant had introduced to me. The rice mill was a pretty big one in Ansan adjacent to Siheung, but at first I could not believe it was a rice mill because there were containers and old furniture like sofas at its entrance. When I arrived there, I found machines lined up against a wall in a dusty place. There was also a small warehouse built with a tin wall and ceiling by the place. Rice husks seemed to be sent to the warehouse from the machines through the thick pipes. The sunbeams entered through the chasms
on the tin walls, casting bright shadows on the heap of rice husks like hills of a desert. The heap of fresh rice husks looked like a heap of gold. What I had to do is only to shovel them into rice sacks. There was a large factory manufacturing elevator parts at the back of the tin warehouse. I parked my car there, and loaded the sacks of rice husks in the car.
A ban on development on many green belt areas there was reportedly removed. Some parts were designated as a cutting-edge industrial complex, and more fac- tories and containers were set at the places that had been fields. A small artificial waterfall was made at the
entrance of Maehwa-dong. Pine trees were planted by the roads. An old bakery, my friend’s hangout turned into a 24-hour convenience store. A broad paved road spread straight and bridged to another broader road. The road is too straight to be wandered by us. The cars of those sightseeing lotus flowers blooming splendidly near the banks of rice fields lined endlessly.
Rubber boots and farming utensils smeared with mud are still placed at the entrance of the old peasant’s building where my friend’s studio is situated. The old peasant with furrows on his face takes care of his rice fields. Passing by the city gradually filled with new neat small buildings, I still bring rice husks from the rice mill. 2013

-----------------------------------------------------------------------------

시흥작업실을 추억하다.

작가에게 작업의 흐름은, 작업실 주변 공간과 무관하지 않다. 이러저러한 이유로, 한군데 정착하여 자신의 작업실을 가지고 작업할 수 있는 작가가 얼마나 될까. 나는 작업실 역사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던 시흥작업실을 추억하여 본다. 경기도 안산 스피커필터 제조공장 지하실, 광명의 아파트 지하실, 안양 후미진 골목, 더 이상 운영되지 않았던 어린이집 옥상 가건물 등을 거쳐, 함께 사용했던 친구들의 발길이 뜸한 틈새 이것 저것 내 작업을 벌려놓고,
사실상 혼자만의 작업공간이 되어버렸던 곳은 시흥의 목감동 작업실이었다.
90년대 초였을 것이다. 목감 사거리에서 소규모 아파트들이 밀집된 곳, 길게 늘어선 상가 건너편 철물점 골목을 구불거리며 얼마간 지나면 2층의 블록건물이 나온다. 아래층은 동네 교회목사의 사택이었고, 그분이 세를 내준 2층 작업실이었다. 바깥에서 바로 연결된 계단을 오르면 6평정도 될까하는 마당이 있었고 옆으로 화장실과 작은 창고가 있었다. 이전에 조각하던 이가 작업장으로 썼다고했던 작은 창고에는 그가 쓰다버린 재료들이 쌓여있었다. 그리고 문을 바로 열면 놀이방으로 사용했다는 15평정도 되는 작업실이 놓여있었다. 안과 밖, 도처에 햇살이 무한이 쏟아졌다! 지하가 아니니까.

2층 마당에서 보면 여기저기 작은 공장들이 있었고, 바로 앞에 꽤나 넓은 밭이 있었는데 밭 귀퉁이에는 버려놓은 쓰레기가 늘 조금씩은 쌓여 있었다. 해질녁이면 누군가가 태운 쓰레기 연기가 모락모락 피어올랐다. 그러나 눈을 들면 하늘이 가깝고, 구름이 있었다. 시간에 따라 시시각각 다른 하늘의 모습이 있었다. 그곳은 석양이 아름다웠다. 어린왕자가 석양을 바라보던 바로 그곳이나 다름 없었다! 무료할 때 조금만가면 만날 수 있는 물왕저수지도 있었다. 포장되지 않은 저수지 바로 옆 도로를, 혹시 저수지로 처박히지나 않을까 염려하며 자동차로 한 바퀴 휙 돌 수도 있었다. 몇몇 공장들이 어수선하게 들어서 있긴 하였지만 멀리 산과 들이 그런대로 방해물 없이 보이는 그런 곳이었다. 어찌되었거나 그곳에서 태양초 고추처럼 나의 작업들을 쨍한 햇살에 여한없이 말리며 작업했다.

5, 6년 정도였을 것이다. 이제는 다른 용도로 사용하겠으니 그만 비워달라며 주인에게서 돌려받은 전세비를 친구들과 나누었다. 비용대비, 시흥의 더 깊숙한 곳이 맞겠다하여 목감에서 신천동쪽으로 한참 더 들어가 보았다. 산 중턱이나, 길 주변 여기저기에 어수선한 공장들이 들어앉아 있었지만 도로변으로 포도 농장의 포도 넝쿨들이 위풍당당하게 심어져 이어져있었다(그 포도송이들을 얼마나 즐겁게 감상하였던가?).
매화동 부근, 동사무소를 향해 좌회전해 들어가면 오래된 동네들이 있었다. 만두집, 찐빵집, 작은 슈퍼 등 활기가 넘쳤다. 목감동과 비슷한 곳이었다. 나는 5층짜리 낡은 아파트의 1층을 얻고, 친구는 건너편 농부할아버지네 새로 지은 건물 2층에 작업실 둥지를 틀었다. 쨍한 햇살에 작품을 드러내어 확 못 말리는 것이 못내 아쉬웠으나 건너편 친구와 나는 가끔씩 동네 뒤편 초등학교를 지나 탁 트인, 때로는 푸르고, 때로는 누런 논둑길을 마음껏 즐겼다. 도시인 듯, 농촌인 듯, 그런 곳이었다. 소형차 한 대가 겨우 지나갈 수 있는 그 논둑길을 가로질러 뚝방길 끝부분에 뜻밖에 손짜장집이 있었다. 가끔씩 한 그릇 먹고, 건너편 큰 길을 따라 가면 관곡지가 나온다. 부근에는, 작정하고 나선 이른 여름 아침 논에 흐드러지게 피어있는 연꽃들을 만날 수 있었다. 키만큼 높고, 넓적한 짙푸른 연꽃잎들 사이를 걸어본다. 논물 위에 둥둥 떠 있는 연푸른 개구리밥 무리를 살짝 거두어 작업실 컵에 놓아두기도 하였다.

나는 농부할아버지에게서 소개받은 정미소에서 작품 재료인 왕겨를 얻어오곤 했다.
시흥에 바로 인접한 안산의 제법 큰 정미소였는데 컨테이너 박스와 낡은 소파 등 낡은 가제 도구들이 입구에 쌓여있는 그곳이 처음에는 정미소라는 데 의아했다. 주소로 찾아간 그곳은 아주 너른 운동장만한 큰 컨테이너 어둑한 공간 안에, 기계들이 벽을 따라 놓여 있었고, 그 공간 옆으로 덧대어 만든 양철벽과 양철지붕의 간이 창고가 있었다. 기계와 연결된 굵은 관을 통해 벗겨진 왕겨들을 그 간이 창고로 날려 보내는 듯했다. 가끔씩 떨어져 나간 양철벽 틈 사이로 햇살이, 사막의 봉우리처럼 쌓여 있는 왕겨더미에 밝은 그림자를 만들기도 하였다. 오래되지 않은 왕겨의 빛깔은 그야말로 빛나는 황금더미였다. 난 쌀자루에 삽으로 퍼담기만 하면 되었다. 뒤편의 양철창고 위쪽에는 엘리베이터 부품을 만드는 큰 공장이 있는데, 그 공장앞에 차를 대고, 나는 쌀자루에 담은 왕겨를 차에 싣곤 한다.

지금은 지역에 그 많던 그린벨트들이 해제되었다고 한다. 일부는 첨단 산업단지 예정 부지로 지정되었고, 더 많은 공장이나, 간이 컨테이너들이 밭이었던 그곳 여기저기에 놓여져 있다. 매화동 입구에는 작은 인공폭포도 만들어졌으며, 작은 도로 가운데 소나무가 심어졌고, 친구의 단골집이었던 오래된 동네 빵집은 24시간 편의점으로 말쑥하게 바뀌었으며, 넓게 난 아스팔트 포장길은 그냥 또 다른 넓은 길로 이어졌겠지 싶게 그냥 쭈욱 나 있다. 목적없이 기웃거리기에는 너무도 반듯한 길 말이다. 연꽃이 흐드러진 논 주변 도로에는 구경나온 수많은 차들이 끝없이 이어져있다. 그러나 친구 작업실의 농부할아버지 건물 입구에는 여전히 마르지 않은 흙이 묻어있는 고무장화와 농기구들이 놓여있다. 할아버지는 좀 더 주름진 모습으로 여전히 그의 논을 돌보고 있는 모양이다. 그리고 나는 점차 그저 멀쑥해지고 간이 건물들로 채워져 가는 이 도시를 지나, 정미소에서 여전히 왕겨를 실어오고 있다.

2013

Reminiscing about Siheung Studio

An artist’s work and its trend are usually influenced by his or her studio’s sur- roundings. I wonder how many artists have their own studios where they stay and work constantly.
I worked at a studio in Siheung for a longer period than other studios. I now reminisce about the studio. After working at studios located in the basement of a speaker-filter factory in Ansan, the basement of an apartment in Gwangmy- eong, in an obscure back alley in Anyang, and on the rooftop of a closed nursery
I worked at the studio in Mokgam-dong, Siheung. The place became a workplace of my own when other friends who had shared the studios above left. It was probably the early 1990s when I first visited. In the area were small apartments clustered near the Mokgam intersection. I could see the two-story building after passing through a meandering back alley. The pastor of a village church lived on the first floor, and put up the second floor for rent. After ascending the steps connected directly to the outside, I found a small yard, a toilet, and a small warehouse. Piled up in the warehouse a sculptor used as a workshop were the materials he left after using. By opening its door, I could see the studio of about 50m2 that was used as a childcare center. The sunlight poured into the room from all directions because it was not underground.
Viewed from the yard of the second floor, a spacious field before the building and small factories were visible here and there. A heap of waste was always at a corner of the field. Smoke rose up from the heap at sunset when someone burned it. By raising my eyes, I could see the sky and clouds closely: a sky ever-changing. The sunset was so beautiful like the sunset the Little Prince saw! When bored I could go to the Mulwang reservoir not far away from the studio. I could drive on the unpaved road by the reservoir, worrying about falling into the reservoir. A few plants were scattered disorderly, but mountains and fields were visible without being hampered. Anyway, I did all I intended to do there, drying my pieces under the sunlight. After staying there for five or six years, the landlord gave me notice to quit. He returned me the security deposit, and I divided this with my friends. Considering the benefits against the cost, I looked for another space in the area located further away from Siheung. I drove to Shincheon-dong from Mokgam- dong. Factories were nestled here and there disorderly on the hillsides or by the roads. Grapevines with imposing grapes were planted by the roads. How pleasur- ably I appreciated a bunch of grapes. Turning left to a dong office near Maehwa- dong, I could see an old village with a dumpling, steamed bread restaurant and a small supermarket brimming with vitality. The place was akin to Mokgam-dong.
I rented a room on the first floor of an old five-story apartment, while my friend nestled into the second floor of a new two-story building an old peasant owned at the opposite side of my apartment. I felt sorry not being able to dry my pieces under the sunlight, but my friend and I fully enjoyed the banks around vast rice fields after passing through an elementary school on the back of the village. The area was semi-urban, semi-rural. There was unexpectedly a jajangmyeon restau- rant at the end of the bank road on which just one car could go by. After eating jajangmyeon there at times, we walked on the road opposite and
reached the Gwangokji pond. We could see lotus flowers blooming splendidly near the pond. We used to walk between deep blue broad lotus leaves as high as us. I gathered duckweeds on the water of a rice field and kept them in a cup at my studio.
I earned rice husks from a rice mill the old peasant had introduced to me. The rice mill was a pretty big one in Ansan adjacent to Siheung, but at first I could not believe it was a rice mill because there were containers and old furniture like sofas at its entrance. When I arrived there, I found machines lined up against a wall in a dusty place. There was also a small warehouse built with a tin wall and ceiling by the place. Rice husks seemed to be sent to the warehouse from the machines through the thick pipes. The sunbeams entered through the chasms
on the tin walls, casting bright shadows on the heap of rice husks like hills of a desert. The heap of fresh rice husks looked like a heap of gold. What I had to do is only to shovel them into rice sacks. There was a large factory manufacturing elevator parts at the back of the tin warehouse. I parked my car there, and loaded the sacks of rice husks in the car.
A ban on development on many green belt areas there was reportedly removed. Some parts were designated as a cutting-edge industrial complex, and more fac- tories and containers were set at the places that had been fields. A small artificial waterfall was made at the
entrance of Maehwa-dong. Pine trees were planted by the roads. An old bakery, my friend’s hangout turned into a 24-hour convenience store. A broad paved road spread straight and bridged to another broader road. The road is too straight to be wandered by us. The cars of those sightseeing lotus flowers blooming splendidly near the banks of rice fields lined endlessly.
Rubber boots and farming utensils smeared with mud are still placed at the entrance of the old peasant’s building where my friend’s studio is situated. The old peasant with furrows on his face takes care of his rice fields. Passing by the city gradually filled with new neat small buildings, I still bring rice husks from the rice mill. 2013

-----------------------------------------------------------------------------

시흥작업실을 추억하다.

작가에게 작업의 흐름은, 작업실 주변 공간과 무관하지 않다. 이러저러한 이유로, 한군데 정착하여 자신의 작업실을 가지고 작업할 수 있는 작가가 얼마나 될까. 나는 작업실 역사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던 시흥작업실을 추억하여 본다. 경기도 안산 스피커필터 제조공장 지하실, 광명의 아파트 지하실, 안양 후미진 골목, 더 이상 운영되지 않았던 어린이집 옥상 가건물 등을 거쳐, 함께 사용했던 친구들의 발길이 뜸한 틈새 이것 저것 내 작업을 벌려놓고,
사실상 혼자만의 작업공간이 되어버렸던 곳은 시흥의 목감동 작업실이었다.
90년대 초였을 것이다. 목감 사거리에서 소규모 아파트들이 밀집된 곳, 길게 늘어선 상가 건너편 철물점 골목을 구불거리며 얼마간 지나면 2층의 블록건물이 나온다. 아래층은 동네 교회목사의 사택이었고, 그분이 세를 내준 2층 작업실이었다. 바깥에서 바로 연결된 계단을 오르면 6평정도 될까하는 마당이 있었고 옆으로 화장실과 작은 창고가 있었다. 이전에 조각하던 이가 작업장으로 썼다고했던 작은 창고에는 그가 쓰다버린 재료들이 쌓여있었다. 그리고 문을 바로 열면 놀이방으로 사용했다는 15평정도 되는 작업실이 놓여있었다. 안과 밖, 도처에 햇살이 무한이 쏟아졌다! 지하가 아니니까.

2층 마당에서 보면 여기저기 작은 공장들이 있었고, 바로 앞에 꽤나 넓은 밭이 있었는데 밭 귀퉁이에는 버려놓은 쓰레기가 늘 조금씩은 쌓여 있었다. 해질녁이면 누군가가 태운 쓰레기 연기가 모락모락 피어올랐다. 그러나 눈을 들면 하늘이 가깝고, 구름이 있었다. 시간에 따라 시시각각 다른 하늘의 모습이 있었다. 그곳은 석양이 아름다웠다. 어린왕자가 석양을 바라보던 바로 그곳이나 다름 없었다! 무료할 때 조금만가면 만날 수 있는 물왕저수지도 있었다. 포장되지 않은 저수지 바로 옆 도로를, 혹시 저수지로 처박히지나 않을까 염려하며 자동차로 한 바퀴 휙 돌 수도 있었다. 몇몇 공장들이 어수선하게 들어서 있긴 하였지만 멀리 산과 들이 그런대로 방해물 없이 보이는 그런 곳이었다. 어찌되었거나 그곳에서 태양초 고추처럼 나의 작업들을 쨍한 햇살에 여한없이 말리며 작업했다.

5, 6년 정도였을 것이다. 이제는 다른 용도로 사용하겠으니 그만 비워달라며 주인에게서 돌려받은 전세비를 친구들과 나누었다. 비용대비, 시흥의 더 깊숙한 곳이 맞겠다하여 목감에서 신천동쪽으로 한참 더 들어가 보았다. 산 중턱이나, 길 주변 여기저기에 어수선한 공장들이 들어앉아 있었지만 도로변으로 포도 농장의 포도 넝쿨들이 위풍당당하게 심어져 이어져있었다(그 포도송이들을 얼마나 즐겁게 감상하였던가?).
매화동 부근, 동사무소를 향해 좌회전해 들어가면 오래된 동네들이 있었다. 만두집, 찐빵집, 작은 슈퍼 등 활기가 넘쳤다. 목감동과 비슷한 곳이었다. 나는 5층짜리 낡은 아파트의 1층을 얻고, 친구는 건너편 농부할아버지네 새로 지은 건물 2층에 작업실 둥지를 틀었다. 쨍한 햇살에 작품을 드러내어 확 못 말리는 것이 못내 아쉬웠으나 건너편 친구와 나는 가끔씩 동네 뒤편 초등학교를 지나 탁 트인, 때로는 푸르고, 때로는 누런 논둑길을 마음껏 즐겼다. 도시인 듯, 농촌인 듯, 그런 곳이었다. 소형차 한 대가 겨우 지나갈 수 있는 그 논둑길을 가로질러 뚝방길 끝부분에 뜻밖에 손짜장집이 있었다. 가끔씩 한 그릇 먹고, 건너편 큰 길을 따라 가면 관곡지가 나온다. 부근에는, 작정하고 나선 이른 여름 아침 논에 흐드러지게 피어있는 연꽃들을 만날 수 있었다. 키만큼 높고, 넓적한 짙푸른 연꽃잎들 사이를 걸어본다. 논물 위에 둥둥 떠 있는 연푸른 개구리밥 무리를 살짝 거두어 작업실 컵에 놓아두기도 하였다.

나는 농부할아버지에게서 소개받은 정미소에서 작품 재료인 왕겨를 얻어오곤 했다.
시흥에 바로 인접한 안산의 제법 큰 정미소였는데 컨테이너 박스와 낡은 소파 등 낡은 가제 도구들이 입구에 쌓여있는 그곳이 처음에는 정미소라는 데 의아했다. 주소로 찾아간 그곳은 아주 너른 운동장만한 큰 컨테이너 어둑한 공간 안에, 기계들이 벽을 따라 놓여 있었고, 그 공간 옆으로 덧대어 만든 양철벽과 양철지붕의 간이 창고가 있었다. 기계와 연결된 굵은 관을 통해 벗겨진 왕겨들을 그 간이 창고로 날려 보내는 듯했다. 가끔씩 떨어져 나간 양철벽 틈 사이로 햇살이, 사막의 봉우리처럼 쌓여 있는 왕겨더미에 밝은 그림자를 만들기도 하였다. 오래되지 않은 왕겨의 빛깔은 그야말로 빛나는 황금더미였다. 난 쌀자루에 삽으로 퍼담기만 하면 되었다. 뒤편의 양철창고 위쪽에는 엘리베이터 부품을 만드는 큰 공장이 있는데, 그 공장앞에 차를 대고, 나는 쌀자루에 담은 왕겨를 차에 싣곤 한다.

지금은 지역에 그 많던 그린벨트들이 해제되었다고 한다. 일부는 첨단 산업단지 예정 부지로 지정되었고, 더 많은 공장이나, 간이 컨테이너들이 밭이었던 그곳 여기저기에 놓여져 있다. 매화동 입구에는 작은 인공폭포도 만들어졌으며, 작은 도로 가운데 소나무가 심어졌고, 친구의 단골집이었던 오래된 동네 빵집은 24시간 편의점으로 말쑥하게 바뀌었으며, 넓게 난 아스팔트 포장길은 그냥 또 다른 넓은 길로 이어졌겠지 싶게 그냥 쭈욱 나 있다. 목적없이 기웃거리기에는 너무도 반듯한 길 말이다. 연꽃이 흐드러진 논 주변 도로에는 구경나온 수많은 차들이 끝없이 이어져있다. 그러나 친구 작업실의 농부할아버지 건물 입구에는 여전히 마르지 않은 흙이 묻어있는 고무장화와 농기구들이 놓여있다. 할아버지는 좀 더 주름진 모습으로 여전히 그의 논을 돌보고 있는 모양이다. 그리고 나는 점차 그저 멀쑥해지고 간이 건물들로 채워져 가는 이 도시를 지나, 정미소에서 여전히 왕겨를 실어오고 있다.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