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ree Lands : Essay on Lee Younghee art

2011

Jean Louis Poitevin

Land, so close yet so far

We are residents in a megalopolis, and feel as familiar with night and its diverse colors as day. We are aware that Earth is a blue globe rotating in the universe. Walking on the ground with bare feet, gazing at the color variations of a field, grasping landscapes not only with our gaze but also with the smell of the soil about us, and feeling the breeze touching our skin ------ All these senses are far away from our experience.
Through the mise en scene of the senses, Lee Younghee has been involved in making work stimulating our perception that we are in the world. This perception is not idealized in her installations. The lands she represents through her perception never seem like a utopia where everything is comfortable, beautiful, and peaceful. Lee knows that the land is captured by the infinite force creating and transforming of the land.
The force of transformation is in a lava gush from deep in the land that forms mountains, islands, and continents. Another force closely linked to the land swoops down on the land. A fierce cold destroyed the upper layer of the Earth in only a few centuries. The ocean water left as memories covered a vast surface before it ebbed away. Today, volcanoes rarely erupt, and the weather is less cold, but the water level has risen. Rain is overriding: it collapse mountains, and turns the whole globe to mud. The mud looks like an enormous stream of dark paint in the painting featuring scenes seen from the sky.
Likewise, there are two forces: the force that makes humans grasp the creation of the land and the force that makes humans betray the land. Lee gives her creative energy to the land’s diverse faces. We know the land we now reside on through our practical experience as we know it through its images. What makes viewers feel thrilled by her work is tension between distant knowledge and approaching sense. Lee is aware that she is a space traveler looking at a blue globe on a computer monitor, as if seeing the globe from a spacecraft’s window

Demeter, a tale of life and death

The story on Demeter is part of Greek and Roman mythology. Her tale is so profound and ancient that it may be associated with all people in the land today. The story of Demeter greatly inspired Lee was so I will briefly summarize it. This myth is universal because it addresses the anguish of a mother who lost her daughter. In Greek mythology, Demeter was a daughter of Cronus, the god of time, and Rhea, a sister of Zeus. Cronus customarily devoured one of his sons every year because his father Uranus and mother Gaia predicted he would be deposed by one of his sons. Rhea was able to protect her daughters but lost her sons. She was able to save Zeus by giving Cronus a stone which he devoured believing it was his son. When the old gods including Cronus were overthrown by Zeus and the Olympians, Demeter became the goddess of nature and fertility. The most dignified ‘mystique’ that remained secret was dedicated to her. A secret ritual was held at a village in Eleusis. During the Dionysian festival held for 10 days an empress of sown seeds is combined with the sacred god to ensure an abundant harvest.
Lee’s work deals with the two faces of the land. One is the face of spring and summer when the land is covered with plants and fruits, and the other is the face of winter when nothing grows. The latter is the face of darkness, night, and anxiety questioning if any renewal or revival will occur in spring like a miracle. The myths of Demeter and her daughter Persephone have long reminded people of the double faces of the Earth. Persephone disappeared while gathering flowers with her friends. She was abducted by Hades, the god of death and god-king of the underworld who appeared suddenly, bursting through a cleft in the earth. Her mother heard her scream, but could not find her daughter despite searching for her all over the earth. When the god of the sun informed her where Persephone was, Demeter decided to stay in Eleusis. She camouflaged herself so nobody could notice she was a goddess from Mount Olympus. In the depth of her despair Demeter forbids the earth to produce and nothing could grow. She had Zeus send Hermes to the underworld to negotiate with Hades. Hades accepted to set Persephone free. Before setting her free, Hades tricked Persephone into eating a pomegranate which would make her return to the underworld. The myth concludes with Persephone staying four months in the underworld with Hades and the other months on the surface with her mother. The myth comments on something more than seasonal changes. Demeter’s despair may be a metaphor for the gloomy winter when everything dies. When the winter passes, a new spring will come. Demeter, a goddess of sowing seeds and harvest, and a goddess of life has an element of death and gloom.
Lee’s work shows a complex world represen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and death, organism and non-organism, and proliferation and devastation. Lee’s world is maintained by this representation.

The surface of the land

Lee worked on her previous installations with fabrics. As many people around the world today exploit leather and cloth, she set fabrics on a support structure. Her light structures made of flexible twigs were suspended from the ceiling. Those installations looked like traps to catch the wind or offerings to gods. Their colors were close to brown and beige, recalling the land. They seemed to resonate prehistoric times when humans were still one with nature. They seemed like the simple forms of geographic signs engraved on animal bones, stones, terracotta, or cloth. The spread textile in these installations was akin to the surface of the land, prefiguring her work today. Close to sculptural works, these installations offered a constructed vision to her creation. Lee today comes close to the mystery of life by presenting the surface of the land itself.
The magic of her work is executed in space. If the space is ‘natural’ as in a hill or a forest, her work becomes land art. If the space is ‘cultural’ as in a museum or a gallery, her work becomes installation, pieces of the land’s surface. Such pieces of the land seem to flow and glide, ripped, creased, folded, gathered, enlarged, lifted, or modified by invisible force. Lee often vertically set the surface or fabrics to look like a haven, lit by a ghostly backlight. Amazingly, all her installations are made with fabrics. The way she uses these fabrics, a combination of draped or unfolded fabrics, the use of color akin to that of the land and the green of new sprouts ----- in her recent work all these appear close to and simultaneously distanced from nature.
The true secret of Lee’s work is characterized by this gap. We identify the land supporting, lifting, reviving, and hauling these pieces, captivated by the ambiguity derived from indescribable pain. Lee is aware that the land suffers and life without pain is unimaginable. In a sense Lee lets the land comment on itself in an artless manner. Her work has the potential to be assimilated by the land. Seeing her work is like a journey to an unknown earth.

Lines and creases

Human connection with the land is far more profound and powerful than we can describe in words. Lee’s sculpture and installation lead us to physical and simultaneously spiritual arenas, moving beyond descriptive power. Lee knows the blood of a prehistoric man flows within us. Although pre-historic times have stayed in our memories, only a few artists are successful in reviving these temporal elements in their work. Lee detaches the outermost layer from the land, presenting abstract signs and traces, unclear lines, and unknown paths on the surface. What we forget is these lines are associated with the state of a vanished land in a sense. We are still walking in a forest or a field, but only a few people can pay attention to the cracks, creases, or abstract signs nature made long ago before humans emerged. Lee notices the signs, so she needs to detach the outermost layer from the land to show them to us.
Presenting pieces of texture may not be enough. These pieces and rice bran soaked in adhesive have to be presented as living elements. When paying a careful attention to the raptures of the surface seemingly flowing on the gallery wall, we meet double mysteries. First, the raptures look like signs or patterns on tree bark. Second, some of the signs look similar to signs humans inscribed on the surface several millions years later. Humans inscribed signs in caves or on diverse objects such as wood and bone. Lee is fully aware of the significance of these signs.
Humans are forced to learn and remember for survival. They always act for and proceed ahead toward the future. Lee attains an extraordinary outgrowth, scattering the pieces of the land on a gallery wall and using the pieces as practical elements. Through the creases of a mountain, she obviously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ces that created the land and the forces that made human hearts beat when the land was created. Lee also demonstrates the two forces work, based on two complementary rhythms: irregular dispersing rhythms and centripetal gathering rhythms. Lee is sure that the land moves according to the rhythms of the human heart.

The shade of history

Even if invisible, history has a significant role in Lee’s work. History is not revealed through elements and symbols recognized at first sight. History is sustained and renewed. It is the force before a collection of incidents. As history and land link with hidden traces rising to the surface, Lee states history exists with the land. Associated with time, the two can conceal. Related to humanity’s basic desire to grasp the world and principles governing the world, the two can liberate humans.
Lee seeks unique ways to enter the visible and existent rather than presenting the world in a regular manner. She attains an unstable balance between light and shade: light is allowed to enter the darkness of underground and under the surface of an object. Lee expos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e through infiltration of light into the surface: fabrics installed in nature. The light and shade seems to play hide-and-seek. Akin to temporary tents these show human history as always discovered in places where construction and growth occurs, and culture and nature compete.
Her work’s power comes from her understanding that nature and culture may collaborate and the two also may confront. Humans like to establish monuments to prove their construction is constant, like nature. Lee shows nature also establishes monuments. Small memorial stones remind us of history and our relationship with it. Modern times are tough, painful, and simultaneously promising for Koreans. Memorial stones recall suffering war, violence, oppression, and encourage us to consider such themes. Lee’s work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world today in its ways of discussing nature and echoing with contemporary history. The shade of history inspiring Lee’s work also provokes light. The outer-layer of land has to be elucidated, which is the only way to understand life in the land, opening upward to a visible world.

The third land

In recent work, more overwhelming than her previous installations, Lee presents reversed objects. Round forms similar to islets are fluid in space. Their surfaces are brown, but something like leaves or green stems are visible under each shape and grow downward. Pieces of the land set toward the sky, and green stems are linked.
Lee’s works are made with a combination of fabrics. Things that look like the surface of land are brown fabric, and green stems are also fabric. In her work nature is represented by natural skills. Lee shows the third land exists through a mixture of ways of presenting change in nature caused by division and proliferation and ways of combination, connection, and fusion. What she recalls is Demeter’s tragedy, in a profound way. Demeter’s tragedy is the tragedy of nature. Nature is a place of pain and pleasure and home of humans. Although reversed, the fabric pieces take on a form of islands. These give us a strong impression of elements floating and drifting on a serene river. The drifting, divided world and world forming a broader territory is a visual symphony representing Lee’s view of the world.
These islands look like reversed masks. This overturning refers to an intricate relation between man and nature: man presently embraces and nurtures nature, but later is embraced by nature or the land. The islands between earth and heaven also recall all separating as Demeter broke up with her daughter by Hades. As Demeter succeeded to maintain relations with her daughter through contract she made with Hades, the islands recall a tendency to approach and connect.
The green sprouts growing from the islands are an evocation of renewal and life. They grow upside down. There reversed appearance recollects nature’s potential for creation, implying hope. Demeter was ready to overturn the land to look for her daughter. What we witness here is the result of violence. Although the land is overturned, and all movements in life are executed in this situation, the land recovers its energy.
Lee reveals the force of lifting and tearing down and force of linking and collecting. A human life struggling against oblivion develops between the two. A true monument is life itself, and life is potential that grows from anywhere. Lee’s islands assert this point. Reversed and ruined, life always recovers its strength by the land. The land is a tomb of hope and prison of pain, with an infinite strength by which all come into being again. The third land is something to come, something tomorrow, something after apocalypse, something after suffering, something after oblivion. Lee’s work celebrates this. The third land, is the first land, the land we deny and forget ---- Lee’s work away from memory and reminiscence makes us fall into the origin of life.

------------------------------------------------

세 개의 대지
이영희의 예술에 관한 시론

2011

장-루이 쁘와뜨뱅

대지, 그리도 가깝고, 그리도 먼

거대도시의 거주자이자 낮보다 더 다양한 색채를 지닌 밤을 마치 낮처럼 마주하는 것에 익숙한 우리는 지구가 냉정한 우주 안에서 스스로의 주변을 도는 푸른 구체라는 것을 알고 있다. 땅 위를 맨발로 걷기, 들판의 끊임없는 색의 변주에 시선을 던지기, 풍경을 우리의 시선으로뿐만 아니라 우리를 감싸는 부식토의 내음으로부터 이해하기, 피부에 닿는 바람의 진동을 느끼기, 이 모든 감각이 광적인 경쟁으로 태양에 닿으려고 시도하는 우주 로켓의 속도로 우리에게서 멀어진다.
이영희는 몇 년째 대지와 관련된 감각의 미장센을 통해, 우리 안에서 세계에 우리가 현존한다는 최초의 자각을 솟아오르게 하는 작업을 전개해오고 있다. 이 자각은 그의 설치들에서 이상화 되지 않는다. 그것은 결코 모든 것이 안락하고 아름다우며 평온할 것 같은 일종의 조악한 파라다이스로 나타나지 않는다. 아니, 이영희는 알고 있다. 대지가 대지의 창조와 그것의 끝없는 변화에 참여한 무한한 힘들에 사로 잡혀 있으며, 그러한 힘이 자리하고 있다는 것을.
대지의 심부(深部)에서 솟아 나와 산과, 섬, 대륙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강력한 용암을 통해 우리가 오늘날까지도 알고 있는 그 존재의 지각 변동적인 힘들이 존재한다.
그런데 대지와 밀접하게 관련된 또 다른 힘들이 외부로부터 대지를 엄습한다. 때론 수세기 동안 지속된 맹렬한 추위는 종종 지구를 뒤덮은 상부의 층을 파열시켰다. 대양의 바닷물은 소멸한 삶의 흔적들과 물질의 퇴적에 대한 기억대신에 남겨지면서, 썰물로 빠져 나가기 전 거대한 표면을 역 저기 덮고 있었다. 오늘날 화산들은 드물게 일어나고, 추위는 감소한 듯한 반면에 물은 상승했다. 우위를 차지한 것은 바로 비이다. 비는 산을 무너지게 하고 지구권역 전체를 진흙 혼합물로 바꾸어 놓아서, 이 진흙 혼합물은 마치 우리가 하늘에서 본 풍경을 그린 그림 위에 나타난 어두운 물감의 거대한 흐름처럼 보인다.
그렇게, 인간이 이 대지 자체가 생성되는 것을 터득하게 하는 힘과 때로는 인간이 대지를 배반하는 것처럼 보이는 힘들이 존재한다.
이영희는 대지의 다양한 얼굴 각각에 질문을 던지는 동시에 우리를 매혹하는 특별한 가시성을 부여하면서 그의 창조적 에너지를 이 다양한 얼굴의 대지에 할애한다. 우리는 우리가 오늘날 거주하고 있는 이 대지를 이미지로 아는 것만큼이나 실제적인 경험으로 알고 있다. 이영희의 작품을 가슴 두근거리는 것으로 만드는 것은 바로 멀어지는 지식과 접근하는 감각 사이의 이러한 긴장감이다. 실제로 그녀는 지구인이 된다는 것에 더불어, 우리가 우주 로켓의 원창을 통해 바라보는 것처럼, 컴퓨터의 모니터 위에서 푸른 구체가 드러나는 것을 바라보는 우주의 여행자가 되었다는 것을 알고 있다.

데메테르, 죽음과 삶의 이야기

데메테르의 이야기는 그리스, 로마 신화의 이야기이지만, 그것은 너무나 심오한 동시에 너무나 오래 되어서 오늘날 대지에 살고 있는 사람들 전체에 관련된 것일 수 있다. 이 이야기는 이영희에게 많은 영감을 주었고 따라서 그의 작품의 핵심으로 들어가기 전에 간단한 줄거리를 상기시킬 필요가 있다.
실제로 데메테르의 신화가 모든 사람에 관계될 수 있다면, 그것은 이 신화가 고통을, 즉 딸을 잃은 한 어머니의 고통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어머니는 시간의 신인 크로노스와 레아의 딸이자 제우스의 누이였으므로, 그리스 만신전의 가장 오래된 여신 중의 하나였다.
크로노스는 매년 그의 아들들을 집어삼키는 끔찍한 관례를 갖고 있었다. 왜냐하면 그의 아버지, 우라노스와 어머니 가이아가 언젠가 크로노스의 아들 중 하나가 그를 폐위시킬 것이라고 예언했기 때문이다. 레아는 그의 딸들은 지킬 수 있었지만, 그의 아들들은 떠나 보내야만 했다. 레아는 크로노스에게 그의 아들 대신 돌멩이를 삼키게 함으로써 제우스를 살릴 수 있었다.
크로노스와 오래된 신들이 제우스에 의해 전복되자, 데메테르는 대지와 풍요의 여신이 되었다. 그때까지 그 비밀을 확실하게 간파할 수 없었던, 그리스의 가장 존엄한 “신비로움”이 바로 그녀에게 봉헌되었다. 비의(秘儀)는 에레우시스의 마을에서 열렸다. 사람들은 10여일 동안 지속될 수 있었던 디오니소스제의 축제에서 그것을 축하했고, 이 기간 동안 파종의 여제관은 풍요로운 수확을 보장하기 위해 신성한 왕과 결합했다.
바로 여기 이 두 얼굴의 대지가 이영희의 작품에서 문제가 되는 것이다. 이 대지의 빛나는 얼굴은 지구가 식물과 열매로 덮여 있는 봄과 여름의 얼굴이고, 다른 하나는 겨울 동안 아무 것도 자라지 않을 때, 이 순간이 계속될 것인지 혹은 봄의 재생의 기적이 매해처럼 일어날 것인가를 질문 하는 어두운 얼굴, 밤의 얼굴, 불안의 얼굴이다.
데메테르와 그의 딸 페르세포네의 이야기는 분명 오랜 시간 동안 이 지구의 이중의 얼굴을 깨닫게 하는 기능을 갖고 있었다. 왜냐하면 데메테르의 딸인 페르세포네는 어느 날 그녀가 친구들과 꽃을 따고 있던 중에 사라졌기 때문이다. 수많은 죽음의 신 혹은 지옥의 신으로 더 불려지는 하데스는 벌어진 심연의 틈새에서 갑자기 나타나 이 어린 여인을 지하의 세계로 끌고 갔다. 그의 어머니는 그의 비명을 들었지만 그녀를 찾으려는 모든 노력에도 불구하고 딸을 찾지 못했다.
결국 태양의 신이 어디에 페르세포네가 있는지를 알려주었을 때, 데메테르는 신들의 세계에서 행해지는 모든 관례와는 반대되게 지구의 에레우시스에 자리를 잡기로 결정했다. 그녀는 늙은 여인으로 변장을 했으므로 누구도 그녀가 올림포스 산의 여신이라는 것을 알지 못했다. 딸을 찾지 못하는 동안, 그녀는 대지를 불모의 땅으로 만들어 버렸다. 그래서 그녀는 제우스가 헤르메스에게 지옥에 내려가 하데스와 협상을 하도록 명령하여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안되도록 하기에 이르렀고, 하데스는 데메테르의 딸을 풀어줄 것을 받아들였다. 하데스는 페르세포네를 풀어주기 전에 석류를 먹게 했는데 이로써 그는 그녀가 지하세계로 돌아와야만 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협상에 따라, 서로를 보고 싶어하는 모녀의 욕망과 페르세포네를 지키고 싶은 하데스의 욕망을 모두 존중해서, 페르세포네는 일년 중 4개월을 지하에서 하데스와 지내고 나머지 달은 땅 위에서 그녀의 어머니와 지내는 것으로 결론 지었다.
이 신화는 계절의 변화에 대해 이야기 해주는 것만이 아니라, 우리에게 그 이상을 이야기한다. 데메테르의 절망은 모든 인간이 겨울이 상징하는 죽음의 어두운 형상과 마주해 터득하는 것과 유사하다. 데메테르가 딸에 대해 그렇게 했던 것처럼, 실제로 어떻게 겨울이 지나 봄이 다시 올 것인가를 자문하지 않을 수 있을까?
파종과 수확의 여신이자 삶과 양식의 여신인 데메테르는 죽음이 상기시키는 삶과 시간의 어두운 부분의 흔적을 그녀 안에 지니고 있다.
이영희의 작품들이 우리 앞에 연출하는 세계는 복합적인 세계이다. 실제로 그것은 여기서 거론된 삶과 죽음 사이의 관계들뿐 아니라, 유기와 재생, 증식과 헐벗음, 쟁기의 날에 의해 땅에 파인 균열과 자라날 밀 사이에서 우리의 안과 밖으로 직조되는 관계들이다. 이영희의 세계는 이러한 본질적인 질문에 의해 지탱된다.

대지의 표피

좀 더 앞선 설치작업들에서 이영희는 이미 직물을 가지고 작업을 하고 있었다. 그녀는 오늘날 세계의 많은 민족들이 아직도 가죽이나 직조된 천 조각들을 가지고 그렇게 하는 것처럼, 지지구조 위에 직물을 설치했다. 유연한 나뭇가지로 만들어진 이 가벼운 구조물들은 천장에 매달려 있었다. 이 설치작업들은 마치 바람을 잡는데 사용되는 덫이나 보이지 않는 신에게 바치는 봉헌물 같았다. 그 색채는 이미 대지의 색인 갈색과 베이지 색에 가까웠고, 그것의 가벼움으로 그 설치들은 흡사 세계를 지켜보기 위해 일어서는 대지를 연상시켰다.
그것들은 잊혀진 세계, 즉 사람들이 자연과 아직도 융화되어 살고, 동물 뼈와 돌, 테라코타에 새기거나 직물 위에 흔적을 남긴 최초의 기하학적 기호들의 단순한 형태들을 발견했을 선사시대의 울림과도 같았다.
펼쳐진 직물은 이미 표피 조각들과 유사했고 오늘날의 작업을 예고했다. 조각에 더 가까웠던 이 작품들은 창작에 있어 구축된 시각을 제공했다. 오늘날 이영희는 대지의 표피 자체를 보도록 제시함으로써 더욱더 삶의 신비에 다가갔다.
그의 작품의 마법은 공간 안에서 전개된다. 그 공간이 언덕이나 숲과 같이 “자연적”일 경우 이 작품들은 일종의 랜드아트에 속하거나, 혹은 미술관이나 갤러리 같이 “문화적”일 경우 그 작품들은 설치, 즉 “표피”의 단편이 된다. 이 후자의 단편들은 더 이상 구조물 위에 펼쳐지지 않고 흐르고 미끄러지고, 늘어나는 듯이 보이고, 또한 마치 보이지 않는 힘이 그것들을 들어올리고, 그것을 변형시키는 것처럼 뜯어지고, 주름지며, 접히고 모이는 것처럼 보인다.
이영희는 자주 표피-직물을 세우는데 피난처의 형태를 부여하고 있으며, 이곳에서 때때로 유령 같은 빛의 후광이 떠오른다.
그러나 가장 놀라운 것은 그의 설치가 모두 직물로 만들어졌다는 사실이다. 그녀가 이 직물을 사용하는 방식, 흐르는 혹은 늘어뜨려진 직물의 조합, 대지의 색에 근접한 색과 새싹의 초록색 사이의 작용, 이 모든 것은 가장 최근의 작품에서 자연과의 유사성의 효과와 동시에 소격 효과를 생산한다.
바로 이 간격이 이영희 작업의 진정한 비밀을 구성한다.
우리는 본능적으로 이 표피의 조각들을 지탱하고 들어올리며, 그것들을 생성하게 하고 내던지는 대지와 이 조각들을 동일시한다. 그리고 우리는 신중한 미장센과 마찬가지로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고통에서 오는 이 모호함에 의해 사로잡힌다.
이영희는 대지가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을 뿐 아니라, 고통 없는 삶을 생각할 수 없다는 것도 알고 있다. 그녀는 우리에게 어떤 의미에서는 대지가 스스로에 대해 이야기 하도록 맡기면서 기교 없이 그것을 말하고 있다. 그녀 작업의 잠재태는 어떤 관점에서는 작업이 대지로 “둔갑“할 정도로 대지와 동화 된다는 것에서 기인한다. 이영희의 작업을 본다는 것은 마치 익숙한 동시에 미지인 땅으로 여행을 떠나는 것과 같다.

선과 주름

인간과 기원의 땅 사이에는 말로 설명할 수 있는 모든 것보다 더욱 깊고 더욱 강력한 관계가 존재한다. 이영희의 조각과 설치의 힘은 말을 넘어서고, 이제 더 이상 우리의 생성에 답하지 못하는 듯 보이기 때문에 우리가 돌아보기를 거부하는 물질적인 동시에 정신적인 영역으로 우리를 이끄는 것에 있다.
이영희는 아직도 우리 안에 역사 이전의 인간의 피가 흐르고 있다는 것을 안다. 선사시대는 우리의 기억 속에 지속되고 있지만, 단지 몇몇의 예술가들만이 사라진 시간의 요소들이 표면에서 다시 보여지도록, 그들의 뿌리를 꽤 멀리 내리게 하는데 성공한다.
그것은 행동과 태도 모두에 관한 것이다. 행동은 가장 기본적인 것으로 인간은 이 행동을 통해 그들의 영토를 표시한다. 우리의 눈 앞에 보여주기 위해 작가는 표피를 땅으로부터 떼어낼 줄 알았고, 그렇게 우리는 이영희의 작품에서 표피 위로 추상적인 기호와 흔적들, 불확실한 선들과 미지의 길이 드러나는 것을 본다.
그런데 우리가 잊고 있는 것은 바로 이 선들이 어떤 의미로는 사라진 대지의 상태에 관련되어 있다는 것이다. 분명 우리는 아직도 숲 속을 혹은 들판을 걷고 있지만, 소수의 사람들만이 이 균열에, 이 대지의 주름에, 인간이 거기 있기 오래 전에 자연이 만들어 놓은 이 추상적인 기호에 주의를 기울일 줄 안다. 이영희, 그녀는 대지의 표피에서 그대로 이 기호들을 알아볼 수 있었다. 그러니까 그녀는 우리에게 그것을 보여주기 위해서 새로운 동시에 강력한 방식으로 표피를 떼어내고 들어 올릴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이렇게 직물의 조각들을 제시하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않을 것이다. 마법이 작동하기 위해서는 이 직물 조각들과 접착제에 담궈졌던 쌀 껍질 막의 조각들이 살아있는 요소처럼 제시되어야만 한다.
그래서 갤러리의 벽을 따라 흐르듯 움직이는 “표피의 파열”을 주의 깊게 바라볼 때 우리는 이중의 신비와 마주하게 된다.
첫째는 자연이 형태를 창조할 뿐 아니라, 때로 예를 들어 나무기둥 위에 파상무늬를 생기게 한 나무껍질처럼 드러나는 기호들을 새기는 듯 보인다는 것이다.
둘째는 이 기호들 중의 어떤 것은 인간이 수백만 년 후에나 세계의 표피에 그리기 시작할 기호와 유사하다는 것이다. 이 표피는 아마도 그들의 것일 테지만, 대부분의 경우 인간은 동굴의 벽 위에 또 혹은 나무와 뼈 같은 다양한 매체에 그림을 그리거나 새겼다.
이영희는 이 기호들의 중요성을 완전하게 인식하고 있다. 그리고 그녀가 대지의 표피를 검토했을 때, 그것은 땅의 기억과 인간의 투기(投企) 사이에 존재하는 근원적인 유사성을 드러나게 하기 위해서였다.
인간은 살아남기 위해서 습득하고 기억할 것을 강요 받는다. 그러나 그들의 행동이 이끄는 것은 바로 미래를 향해서이다. 인간이 전진하는 것은 언제나 내일을 향해서이다.
벽 위에 표피의 조각을 분산시키면서, 또한 상징인 동시에 실제적인 요소로 작용하는 재료로 그 조각들을 사용하면서, 이영희는 예외적인 결과를 얻는다. 그녀는 산의 주름이 오늘날 여전히 증명하는, 대지를 만든 힘들과 그리고 그것이 생성될 때 인간의 심장을 뛰게 한 힘들 사이의 관계를 명백하게 했다.
인간이 사물에 근거를 두는 흔적과 선들 그리고 물질이 만들어내는 주름은 같은 성질의 것으로, 주름은 물질이 그것을 변화시키는 힘들에 부합할 때 만들어진다. 그러나 또한 이영희가 우리에게 보여주는 것은 그러한 힘들이 상호 보완적인 두 리듬에 따라 전개된다는 것으로 분산의 리듬인 불규칙한 리듬과 집결하는 힘의 리듬인 구심적인 리듬이다. 분명 이영희에게 대지는 인간의 심장을 진동시키는 리듬과 같은 리듬에 따라 살아간다. 그것은 단지 상이한 지속이다. 지속들 사이의 차이는 삶의 원천인 동시에 그것에 내재한 비극의 원천이다.

역사의 그늘

눈에 띄지는 않을지라도, 역사는 이영희의 작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역사는 첫 눈에 인식할 수 있는 요소들이나 상징들을 통해 드러나지 않는다. 역사는 사실 지속되는 것인 동시에 다시 계속되는 것이다. 역사는 그것을 구성하는 사건들의 집합이 되기 전에, 하나의 힘이다. 역사와 대지는 표면 위로 떠오르는 숨겨진 흔적과 상관이 있기 때문에, 이영희에게 그것들은 역사는 대지와 마찬가지로 존재할 뿐이라는 것을 되풀이 말하는 경향이 있다.
이 둘은 시간에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은폐하는 역량인 동시에, 인간이 살고 있는 세계와 그 세계를 지배하는 법칙을 알고 싶어하는 인간의 근본적인 요구에 관련되어있기 때문에 해방시키는 역량이라는 공통점을 갖는다.
세계를 규칙적으로 재단하거나 수학 방정식의 형태로 우리에게 넘겨주기 보다는, 이영희는 가시세계가 갖고 있는 현존하는 것 안으로 들어가는 상이한 방식들을 찾아낸다. 그리고 빛과 그림자 사이에서 불안정한 균형이 이루어진다. 이 불안정한 균형은 지하의 밤이 빛을 보는 것과 빛이 사물의 표피 아래로 스며드는 것을 허용한다. 그의 “표피-직물”의 단편들을 자연에 설치하고 그곳에 빛이 발하도록 함으로써 작가는 인간이 자연과 맺는 관계 안에서 행해지는 것을 폭로한다. 둘 사이에 숨바꼭질이 존재하고, 일시적인 캠프의 텐트와 유사한 형태들은 인간이 그리고 인간과 함께하는 역사가 언제나 건설과 성장, 문화와 자연이 경쟁에 들어가는 그곳에서 찾아진다는 것을 상기시킨다.
이영희 작품의 힘은 자연과 문화 사이의 대립이 분리와 마찬가지로 유대라는 것을 이해했다는 것에 있다. 인간은 마치 그들이 건설하는 것이 자연의 창조만큼 지속적일 수 있다는 것을 끊임없이 증명해야만 하는 것처럼 기념물을 세우는 것을 좋아한다. 이영희는 기념비를 세우려는 경향이 자연에서도 찾아진다는 것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외부로 향하는 일종의 추진력이 되지 않으면서 또한 석비(石碑)를 건립하는 매개체가 되지 않는 힘은 존재하는가?
견디기 힘든 땅에 심어진 작은 요소들은 명백한 방식으로 그것을 상기시킨다. 작은 석비들은 역사만이 아니라 우리가 역사와 유지하는 관계를 연상시킨다. 현대는 한국인에게 힘든 동시에 전도유망한 시기였고 그것은 여전히 고통스럽다. 석비들은 그것이 어떤 이름도 갖고 있지 않을지라도, 어떤 동기에 헌정되지 않을지라도, 그것들의 방식으로 전쟁의 고통과 폭력, 그리고 억압에의 투쟁을 상기시키고, 이러한 주제를 깊게 생각할 것을 권유한다. 이영희의 작업은 따라서 자연을 논하는 방식에 의해, 또한 현대역사의 관심사에 반향을 만드는 방식으로 오늘날의 세계와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이영희의 작업을 사로잡은 역사의 그림자는 또한 빛을 불러일으키는 것이다. 그래서 단지 태양으로부터 만이 아니라 땅으로부터 그리고 외부로부터 대지의 표피를 밝혀야만 했다. 그것이 대지의 삶 자체가 완전히 가시세계를 향해 있다는 것을 이해하게 하는 유일한 방법이다.

세 번째 대지

지금까지 실현된 작품보다 훨씬 더 압도적인 설치들을 보여주는 최근의 작업에서 이영희는 그녀 작업에 있어 일종의 열쇠가 되는 전도(顚倒)의 현상을 연출했다. 섬을 닮은 둥근 형태들은 공간 안에서 부유하는 듯하다. 그것들의 표면은 갈색, 즉 대지의 색이지만 이 형태 각각의 아래에는 긴 나뭇잎 혹은 초록색의 줄기 같은 것이 보인다. 이 긴 풀처럼 보이는 것은 글자 그대로 아래로 자란다. 실제로 대지의 판들은 하늘을 향해 자리를 잡고, 초록색의 줄기는 땅을 향해 길게 이어진다.
다시 한번, 그것을 상기해야만 한다. 이영희의 모든 작업은 직물로 만들어 진다는 것을. 자연적인 것으로 보이는 이 새로운 형태들도 사실은 그것 역시 직물의 거대한 조합이다. 대지의 층을 닮은 것은 갈색 직물이고, 초록색 줄기 역시 직물로 만들어 졌다. 이영희의 작업에서 자연은 기교에 의해서만 표현될 뿐이지만 기교는 어떤 의미에서 완전하게 자연적이다.
건설과 성장의 지표, 즉 자연의 분기와 증식에 의한 변화의 방식을 조합과 연결 혹은 결합에 의한 연장의 방식과 뒤섞음으로써 이영희는 우리에게 세 번째 대지가 분명히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서로 다른 직물의 두 조각을 함께 꿰맬 수 있게 하는 실 혹은 융단의 매듭의 부드러운 힘에 줄기의 부드러운 힘을 접근시킴으로써, 그녀가 여기서 또 다시 환기시키는 것은 바로 데메테르의 비극이다. 그것은 설명적인 방식이 아니라, 완전히 심오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데메테르의 비극은 자연의 비극에 다름 아니다. 자연으로서의 자연은 고통의 장소이자 기쁨의 영토인 인간의 고향이다.
그리고 뒤집혀졌지만 비옥한 자연을, 글자 그대로, 연출한 직물의 판들은 게다가 섬의 형태를 갖고 있다. 이 섬들은 우리에게 일종의 대륙처럼 또한 고요한 강 위에 부유하고 표류하는 요소처럼 강한 인상을 준다. 표류하는 분리된 세계와 더 넓은 영토를 재구성하려는 것처럼 보이는 세계들은 세부에서 까지 이영희의 세계관을 표현하는 일종의 시각적이고 조형적인 심포니를 구성한다.
이 섬들은 자연의 마스크처럼 보일 수 있는데, 뒤집어진 마스크이다. 이 뒤집어짐은 현재세계에서의 자연의 위치와 동시에 인간이 그들을 먹이고 품으며, 사후에 인간의 육체를 받아들이는 대지와 맺는 복잡한 관계를 이야기한다.
또한 이 섬들은 땅과 하늘 사이에 현존한다는 자체로, 데메테르가 지옥의 신에 의해 자신의 딸과 헤어졌던 것처럼, 분리하는 모든 것을 상기시킨다. 그렇지만 데메테르가 결국은 하데스로부터 이끌어 낸 계약에 의해 딸을 정기적으로 만나고, 관계를 유지하는 데 성공한 것처럼, 이 섬들은 접근하려 하고 서로 이어지려고 하는 경향이 있는 모든 것을 상기시킨다.
또한 이 섬들은 섬에서 솟아 나오는 초록색의 싹에 의해 재생과 삶을 환기한다. 분명 이 삶은 거꾸로 자라는 듯 보인다. 그러나 이 전도는 여전히 하나의 희망이고, 희망이상으로 그것은 어떠한 상황이든 유지되는 자연의 창조적 잠재성을 환기시킨다.
데메테르를 다시 한번 기억하자. 신화의 초반에 그녀는 딸을 찾기 위해 대지를 뒤집을 준비가 되어 있었다. 여기서 우리가 보는 것은 절망에 빠진 폭력의 결과물이다. 그러나 일단 고통이 진정된 폭력의 결과물. 대지는 정말로 뒤집어 졌지만 일단 고통이 조금 진정되고 나면, 삶의 운동은 모든 것이 전복된 상황에서 이루어 질지라도, 기운을 회복한다.
이영희는 들어 올리고 찢는 힘과 다시 잇고 다시 모으는 힘을 동시에 드러낼 줄 아는 예술가이다. 이 둘 사이에서 석비와 기념비를 건립하면서 망각에 맞서 싸우는 인간의 삶이 전개된다.
그러나 진정한 기념비는 삶 자체이고 삶은 어떤 것도 다시는 자라지 않을 것이라고 믿는 바로 그곳에서 무엇인가 다시 자라게 하는 잠재력에 다름 아니다.
이영희의 섬은 강하게 그것을 이야기 하고 있다. 불에 탔을지라도, 뒤집혀지고 파괴되었을지라도 대지에 의해 삶은 언제나 기운을 회복하는 것이다. 대지는 희망의 무덤이고 고통의 감옥이지만 또한 그것에 의해 모든 것이 다시 태어나는 무한한 힘이다.
세 번째 대지, 그 대지는 다가올 그것, 내일의 그것, 대재앙 이후의 그것, 고통 이후의 그것, 망각 이후의 그것이다.
이영희의 작업이 기념하는 것은 바로 이 대지이다. 이 세 번째 대지, 사실은 첫 번째의 그것, 대지를 부정한 나머지, 우리가 잊어버릴 뻔 했던 대지. 예술가들, 특히 이영희의 고집은 차치하고라도, 기억보다 멀리 그리고 추억보다 멀리 앞서가는 작업은 우리를 삶의 기원 자체에 빠져들게 만든다.